사자성어 명언 모음 1000개 (1탄)
오늘은 사자성어 명언 모음 1000개 (1탄)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
사자성어는 한자 네 글자로 이루어진 관용구로, 오랜 세월 동안 우리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지혜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. 1000개의 사자성어를 모두 나열하기는 어렵지만,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사자성어 몇 가지를 뜻과 함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. 이번 1탄에서는 1~100까지 사자성어 알려드리겠습니다.

글자 복사가 안되시면 아래 파일을 다운 받으시기 바랍니다.
사자성어 명언 모음 1000개
1. 각주구검(刻舟求劍): 융통성 없는 행동을 비유합니다.
2. 금과옥조(金科玉條): 절대적인 규칙이나 교훈을 의미합니다.
3. 동문서답(東問西答): 질문과 관계없는 엉뚱한 대답을 일컫습니다.
4. 백년해로(百年偕老): 부부가 백 년을 함께 살며 늙어간다는 뜻으로, 화목한 부부 관계를 나타냅니다.
5. 사면초가(四面楚歌):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인 위험한 상황을 의미합니다.
6. 일석이조(一石二鳥):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상의 이득을 얻는 것을 뜻합니다.
7. 천신만고(千辛萬苦): 온갖 어려움과 고생을 겪는다는 의미입니다.
8. 호시탐탐(虎視眈眈): 호랑이가 먹이를 노리듯 기회를 엿본다는 뜻입니다.
9. 감언이설(甘言利說): 달콤한 말로 남을 꾀는 것을 의미합니다.
10. 노심초사(勞心焦思): 몹시 마음을 쓰며 걱정한다는 뜻입니다.
11. 고진감래(苦盡甘來):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온다는 의미입니다.
12. 구우일모(九牛一毛): 아주 작은 부분이나 대수롭지 않은 것을 뜻합니다.
13. 다다익선(多多益善):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입니다.
14. 막상막하(莫上莫下):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한 수준임을 나타냅니다.
15. 백면서생(白面書生): 세상 물정을 모르는 순진한 젊은이를 일컫습니다.
16. 사필귀정(事必歸正):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.
17. 역지사지(易地思之):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다는 뜻입니다.
18. 우공이산(愚公移山):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.
19. 일장춘몽(一場春夢): 인생의 허무함을 나타내는 표현으로, 꿈처럼 덧없다는 뜻입니다.
20. 주객전도(主客顚倒): 주된 것과 부차적인 것이 뒤바뀐 상황을 의미합니다.
21. 천재일우(千載一遇): 천 년에 한 번 있을 정도로 좋은 기회를 뜻합니다.
22. 풍수지탄(風樹之嘆):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에야 효도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을 한탄하는 말입니다.
23. 화룡점정(畫龍點睛): 그림의 용에 눈을 그려 넣어 생동감을 주듯, 무언가를 완성하는 중요한 마무리를 의미합니다.
24. 갑론을박(甲論乙駁): 서로 자기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방의 의견을 반박함을 뜻합니다.
25. 노익장(老益壯): 나이가 들수록 더욱 힘이 있고 기운이 좋아짐을 의미합니다.
26. 견물생심(見物生心):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긴다는 뜻입니다.
27. 결초보은(結草報恩):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는 의미입니다.
28. 고군분투(孤軍奮鬪): 홀로 고립된 상태에서 힘껏 싸운다는 뜻입니다.
29. 과유불급(過猶不及):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의미입니다.
30. 금시초문(今時初聞): 지금 처음 듣는 말이라는 뜻으로, 처음 듣는 놀라운 소식을 나타냅니다.
31. 내우외환(內憂外患): 안팎으로 걱정거리가 많음을 의미합니다.
32. 다재다능(多才多能): 재주와 능력이 많다는 뜻입니다.
33. 동병상련(同病相憐): 같은 처지의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위로함을 나타냅니다.
34. 맹모삼천(孟母三遷): 자녀 교육을 위해 환경을 중요시함을 의미합니다.
35. 부화뇌동(附和雷同): 자신의 의견 없이 남의 의견에 따라가는 것을 뜻합니다.
36. 사상누각(砂上樓閣): 모래 위에 지은 누각처럼 기초가 튼튼하지 못한 것을 비유합니다.
37. 언중유골(言中有骨):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, 말에 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.
38. 오월동주(吳越同舟): 서로 적대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한 배를 탄 것처럼 공동 운명에 처한 상황을 나타냅니다.
39. 일취월장(日就月將): 나날이 달마다 발전한다는 뜻입니다.
40. 자강불식(自强不息): 스스로 힘써 쉬지 않고 노력한다는 의미입니다.
41. 천리마(千里馬): 하루에 천 리를 달리는 말처럼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합니다.
42. 학수고대(鶴首苦待):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린다는 뜻입니다.
43. 환골탈태(換骨奪胎): 뼈를 바꾸고 태를 빼앗는다는 뜻으로, 완전히 새롭게 바뀜을 의미합니다.
44. 각골난망(刻骨難忘): 뼈에 새길 정도로 잊기 어려운 은혜나 원한을 나타냅니다.
45. 난형난제(難兄難弟):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함을 의미합니다.
46. 동고동락(同苦同樂):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입니다.
47. 막역지우(莫逆之友): 서로 거스르지 않는 아주 친한 친구를 의미합니다.
48. 백년대계(百年大計): 먼 앞날을 내다보고 세우는 큰 계획을 뜻합니다.
49. 사생결단(死生決斷): 죽고 사는 것을 돌보지 않고 결단을 내림을 의미합니다.
50. 어부지리(漁父之利): 둘이 싸우는 틈을 타서 제3자가 이익을 얻는 것을 뜻합니다.
51. 일석이조(一石二鳥):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상의 이득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.
52. 천신만고(千辛萬苦): 온갖 어려움과 고생을 겪음을 나타냅니다.
53. 호시탐탐(虎視眈眈): 호랑이가 먹이를 노리듯 기회를 엿본다는 뜻입니다.
54. 감언이설(甘言利說): 달콤한 말로 남을 꾀는 것을 의미합니다.
55. 노심초사(勞心焦思): 몹시 마음을 쓰며 걱정한다는 뜻입니다.
56. 대기만성(大器晩成):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.
57. 명재경각(命在頃刻): 목숨이 경각에 달려 있다는 뜻으로, 매우 위험한 상황을 나타냅니다.
58. 부전자전(父傳子傳): 아버지의 재능이 아들에게 이어짐을 의미합니다.
59. 순망치한(脣亡齒寒):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, 서로 밀접한 관계를 나타냅니다.
60. 어불성설(語不成說): 말이 이치에 맞지 않아 말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.
61. 일거양득(一擧兩得): 한 번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 것을 뜻합니다.
62. 작심삼일(作心三日): 결심을 해도 사흘을 넘기지 못한다는 뜻입니다.
63. 천재일우(千載一遇): 천 년에 한 번 있을 정도로 좋은 기회를 의미합니다.
64. 혼비백산(魂飛魄散): 혼백이 날아가 흩어진다는 뜻으로, 몹시 놀라 넋을 잃음을 나타냅니다.
65. 각자무치(刻舟求劍): 배에 표시를 해 칼을 찾으려 한다는 뜻으로, 융통성 없는 행동을 비유합니다.
66. 금상첨화(錦上添花): 비단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, 좋은 일에 더 좋은 일이 더해짐을 의미합니다.
67. 다다익선(多多益善):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입니다.
68. 망양지탄(亡羊之歎): 양을 잃은 탄식이라는 뜻으로, 잃어버린 것을 안타까워함을 나타냅니다.
69. 백중지세(伯仲之勢):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한 형세를 의미합니다.
70. 사면초가(四面楚歌): 사방이 적에게 둘러싸인 위험한 상황을 뜻합니다.
71. 역지사지(易地思之):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본다는 의미입니다.
72. 일장춘몽(一場春夢): 한바탕 봄꿈이라는 뜻으로, 인생의 덧없음을 나타냅니다.
73. 좌충우돌(左衝右突): 이리저리 부딪치며 마구 돌진한다는 의미입니다.
74. 천고마비(天高馬肥): 하늘은 높고 말은 살찐다는 뜻으로, 가을의 좋은 계절을 나타냅니다.
75. 화룡점정(畫龍點睛): 용을 그리고 눈동자를 찍는다는 뜻으로, 중요한 부분을 마무리함을 의미합니다.
76. 각골난망(刻骨難忘): 뼈에 새길 정도로 잊기 어려운 은혜나 원한을 나타냅니다.
77. 난형난제(難兄難弟):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함을 의미합니다.
78. 동문서답(東問西答): 동쪽을 물었는데 서쪽을 대답한다는 뜻으로, 엉뚱한 대답을 의미합니다.
79. 막상막하(莫上莫下): 위아래를 가릴 수 없을 정도로 비슷함을 나타냅니다.
80. 백면서생(白面書生): 세상 물정을 모르는 순진한 젊은이를 일컫습니다.
81. 사필귀정(事必歸正): 모든 일은 결국 바른 길로 돌아간다는 의미입니다.
82. 우공이산(愚公移山):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큰 일을 이룰 수 있다는 뜻입니다.
83. 일거양득(一擧兩得): 한 번의 행동으로 두 가지 이익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.
84. 주객전도(主客顚倒): 주된 것과 부차적인 것이 뒤바뀐 상황을 나타냅니다.
85. 풍수지탄(風樹之嘆): 부모님이 돌아가신 뒤에야 효도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을 한탄하는 말입니다.
86. 갑론을박(甲論乙駁): 서로 자기 주장을 내세우며 상대방의 의견을 반박함을 뜻합니다.
87. 노익장(老益壯): 나이가 들수록 더욱 힘이 있고 기운이 좋아짐을 의미합니다.
88. 동병상련(同病相憐): 같은 처지의 사람끼리 서로 동정하고 위로함을 나타냅니다.
89. 막무가내(莫無可奈): 어찌할 수 없다는 뜻으로, 고집이 세거나 무례한 태도를 의미합니다.
90. 백년해로(百年偕老): 부부가 백 년을 함께 살며 늙어간다는 뜻으로, 화목한 부부 관계를 나타냅니다.
91. 사상누각(砂上樓閣): 모래 위에 지은 누각처럼 기초가 튼튼하지 못한 것을 비유합니다.
92. 언중유골(言中有骨): 말 속에 뼈가 있다는 뜻으로, 말에 힘이 있음을 의미합니다.
93. 일취월장(日就月將): 나날이 달마다 발전한다는 뜻입니다.
94. 중구난방(衆口難防): 여러 사람의 말을 막기 어렵다는 뜻으로, 뜬소문을 막기 어려움을 나타냅니다.
95. 학수고대(鶴首苦待):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린다는 뜻입니다.
96. 각자무치(各自無恥): 각자 부끄러움 없이 행동한다는 뜻으로, 염치없는 행동을 비판할 때 사용합니다.
97. 난형난제(難兄難弟): 누가 형이고 누가 아우인지 구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슷함을 의미합니다.
98. 동고동락(同苦同樂): 고통과 즐거움을 함께 한다는 뜻입니다.
99. 막역지우(莫逆之友): 서로 거스르지 않는 아주 친한 친구를 의미합니다.
100. 백년대계(百年大計): 먼 앞날을 내다보고 세우는 큰 계획을 뜻합니다.
결론
오늘은 사자성어 명언 모음 1000개 (1탄)를 소개해 드렸습니다.
사자성어는 간결하면서도 깊은 의미를 담고 있어, 우리의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. 이러한 표현들을 적절히 사용하면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, 동시에 우리 문화의 지혜를 이해하고 계승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그럼 다음에는 사자성어 명언 모음 1000개 (2탄)으로 만나요.
함께 읽으면 좋은 글
2024.10.10 - [분류 전체보기] - 뜻이 예쁜 영어단어 100
뜻이 예쁜 영어단어 100
뜻이 예쁜 영어단어 100 오늘은 뜻이 예쁜 영어단어 100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뜻이 예쁜 영어 단어는 언어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주며,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.
redflower7.tistory.com
2024.10.02 - [분류 전체보기] - 특수문자 이모티콘 모음 하트 별 귀여운 사이트
특수문자 이모티콘 모음 하트 별 귀여운 사이트
특수문자 이모티콘 모음 하트 별 귀여운 사이트 오늘은 특수문자 이모티콘 모음 하트 별 귀여운 사이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안녕하세요, 여러분! 오늘은 특별한 주제로 찾아왔어
redflower7.tistory.com